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드리는 말]

안녕하세요?

제2기 민주주의와 노동학교를 “87년 민주화 이행이후 한국노동운동의 형성에서 전환까지”라는 주제로 지난 9월10일 마쳤습니다.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전체 4강 모두, 자리를 채우며 나름 성황이었고,
무엇보다 열띤 분위기로 진지한 토론이 이뤄졌습니다. 박사논문을 기초로한 강의였고, 또한 애초 강의안이 노동운동의 역사를 연대기적으로 보는게 아니라 문제적 시각에서 현재의 역사로 재구성하며, 비교정치사적 관점에서 보겠다고 했기에, 꽤 난해한 강의였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분들이 강의 흐름을 잘 파악하시고, 토론 질문도 수준급이었습니다. 최근에 노동문제로 이만큼 열띤 분위기의 토론회는 별로 없었던 듯 합니다. 이 점이 매우 뿌듯합니다.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은 단지 노동자의 파업과 생계기금을 모으는게 다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기금조성 역시, 노동에 대한 문제의식을, 그리고 노동의 사회적 연대를 확장하자는 궁극적인 목표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노동학교에서 확인했습니다, 노동문제에 대한 관심, 노동의 문제의식으로 이 사회를 바라보고 대안을 갈구하고자 하는 열정이 그만큼 강하다는 점. 그리고 사파기금이 하는 ‘민주주의와 노동’학교가 하나의 촉매제가 됐다는 점. 이번 노동학교는 어쩌면 시작일 것입니다. 여러분의 문제의식을 사장시키지 마시고, 꼭 기억하시면서, 하나하나 채워나가시기 바랍니다, 스스로의 답을 구하시길 바랍니다. 사파기금이 하는 월례 노동포럼인 ‘사파포럼’에서도 뵙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이 기회에 애써주신 분들께, 무지 뒤늦은(^^) 인사를 드리겠습니다.

노동학교 준비와 당일 행사를 함께 진행해주신 노동학교 기획단 여러분!
정말 고맙습니다. 여러분이 계셔서 이번 노동학교는 정말 수월했고, 더불어 든든했습니다. 전 강의준비에 일단 집중할 수 있었구요. 일일이 이름 말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사파기금 운영진 여러분!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일년에 두번 큰 행사로 있는 가을 주점과 여름 노동학교중, 하나를 해냈습니다. 그것도 큰 하자없이, 어쩌면 1기때보다 더 내실있고 풍성하게 말입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해요…

아무튼 그동안 제 강의 들으시느라고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
_()_

2013년 9월 21일
사회적파업연대기금
대표 권영숙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여는 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87년 민주화이후 한국 노동운동의 역사-형성에서 전환까지” 4강중에서 그 세번째 강의가 9월 3일 오후 7시부터 서울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경향신문 빌딩 13층)에서 열립니다.

이번 제 3강의 강의제목은 “노동운동의 전환 (1993- 1998) 포위와 조직노동의 제도화”입니다.

다음은 강의를 해 주실 권영숙 교수의 3강 소개글입니다

——–

3강 강의안 소개
– 93년 ‘전환점’의 의미와 노동운동의 변화

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노동운동의 형성에서 전환까지”. 그 3번째 강의가 9월3일 내일 저녁 7시부터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에서 열립니다.

4강중 벌써 3강입니다. 제목은 “노동운동의 전환, 1993-1998: 포위와 조직노동의 제도화”입니다. 강의 전체 제목이 “형성에서 전환까지”입니다. 그 큰 제목에서 ‘전환’의 의미를 다루는 시간입니다.

이제껏 1강은 기본적 시각, 총론적 논지, 그리고 87년 노동자대투쟁의 역사적 의미와 성격을 다뤘고, 2강에서 ‘형성기 민주노조운동’에 대해서 얘기했습니다. 저의 논지중 핵심은 한국 노동운동의 전환점은 97년이 아니라 93년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민주화라는 것이 장기적 경로속에서 정치적 민주주의를 구체화하기때문입니다. 흔히 ‘공고화’라는 표현은 일면적이지요. 어떤 민주주의 하위체제로 귀착되는가는 이행이후의 긴 과정을 겪으면서 분명해집니다. 불행히도 한국은 노동없는 자유민주주의의 공고화입니다. 그리고 이는 노동체제, 노동의 시민권, 노동의 선택과 긴밀히 연결됩니다. 그래서 이행이후 ‘형성’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1987년부터 1992년까지 ‘형성기’의 특징을 치열한 계급투쟁과 전투적 조합주의의 명암으로 요약했습니다. 이제 제 3강에서 그런 경로가 만들어낸, 민주주의사회의 새로운 조건속에서, 노동운동이 어떻게 대응하고 자기전화했는가를 보겠습니다. 1993년부터 1998년, 바로 이 시기의 전환이 이후의 노동운동, 노조운동, 나아가 한국의 노동계급의 현주소에 그대로 연동됩니다. 97년 외환위기는 그 정점 혹은 그것의 본격적인 확인과정에 돌입하는 셈이었지요.

이상 강의 요약이구요.
그날 강의에서 뵙겠습니다.
아 참. 최근 국정원의 통진당 이석기 의원 수사가 사회적 정치적 파장을 그리고 있습니다. 해묵은 80년대부터의 이념적 지형이 다시 논의되고있기도 합니다. 이른바 PD와 NL, 혹은 민족주의와 좌파가 노동에 어떻게 연관을 맺기 시작했고 어떤 노동내 지형을 만들었는지, 이른바 정파의 문제와 이념의 문제도 다루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물론! 그 가운데 자리잡은 민주연합과 자유주의의 문제까지도…

그러니 결석하지 마시고,
1강이후 빠졌거나, 2강에만 들어왔거나 한 분들과
새로 오는 분들….
모두 함께 보길 바랍니다.
날이면 날마다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제2회 3강 “노동운동의 전화 1993-1998”

내일 저녁 7시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에서 만나요!

강사: 권영숙 (사회적파업연대기금 대표/ 민교협 노동위원장)

– 참가비 : 전체 강좌 2만원 (1회 강좌 수강시 1만원)
– 입금계좌: 국민은행 012501-04-230247 사회적파업연대기금
참가신청 : 클릭! http://goo.gl/AINfx 혹은 http://sapafund.org/

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노동운동의 형성에서 전환까지”

 제 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참가 신청하기 –> 링크 클릭하기  http://goo.gl/AINfx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를 87년이후 한국 노동운동사 기획강좌로 엽니다.

지난 26년의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에서 노동은 무엇을 요구하였고 노동운동은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노동운동은 정리해고, 비정규직, 노조탄압에 내몰리고 있는 한국의 노동자계급에게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요? 한국의 민주화이후 민주주의하에서 노동의 희망은 정녕 찾을 수 없는 걸까요? 이번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강좌는 이 질문들에 대해 치열하게 답을 구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역사적 사실들의 나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87년이후 노동의 역사를 재구성하고자 시도할 것입니다. 그리고 전세계 각국의 노동운동들과의 비교정치사적인 고찰속에서 한국 노동운동에 대해 더넓고 깊은 이해를 도모할 것입니다.
역사와 노동현실에 관심있는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강사: 권영숙 (사회적파업연대기금 대표, 민교협 노동위원장)

– 강좌 구성 (매주 화요일 19시)
제1강 (8/20) – 민주노조운동의 형성기 (1987-1992) 억압과 전투적 노조주의의 명암
제2강 (8/27) – 노동운동의 전환 (1993- 1998) 포위와 조직노동의 제도화 모색
제3강 (9/03) – 노동운동의 제도화 (1998-) 사회적 대화와 내부적 배제
제 4강 (9/10) – 2008년이후 지금까지 노동 – 노동없는 민주주의, 노동없는 노동운동, 노동없는 노동정치 어떻게 타개할까

– 참가신청 : 클릭! http://goo.gl/AINfx 
– 참가비 : 전체 강좌 2만원 (1회 강좌 수강시 1만원)
– 입금계좌: 국민은행 012501-04-230247 사회적파업연대기금 
– 장소 :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 (서울 중구 정동 소재 경향신문사 사옥 내)

– 문의 : 이메일 sapafund@gmail.com, 페이스북 계정 사파기금(sapafund)

 

 

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제2회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노동운동의 형성에서 전환까지”

[공지] 행사보고 – ‘민주주의와 노동’학교 결산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주최한 ‘민주주의와 노동’학교가 성황리에 종료되었습니다.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30분부터 총 세번의 강의로 진행된 ‘민주주의와 노동’학교는 권영숙 선생님의 열정어린 강의와 학생들의 진지한 질의응답으로 매회 종료 시간을 과하게 초과하여 대관해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당직자를 심히 곤란하게 하곤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회 많은 분들이 뒷풀이에 참석해 주셨을 뿐 아니라 급기야 강의를 다 마치고도 못다한 토론을 위해 ‘집담회’를 별도 날자를 잡아 진행하였습니다. 이렇듯 강의 참석 연인원 129명, 강의당 약 40명이 참가하는 기대 이상의 성황이었던 학교는 그만큼 ‘노동’이 제대로 자리잡는 사회, 노동중심성이 굳건히 선 노동운동, 그리고 노동이 배제되지 않는 민주주의에 대한 많은 분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고 할 것입니다.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처음 시도한 ‘민주주의와 노동’학교는 수강하신 여러분들의 의견과 논의에 따라 ‘학교’형식이 아닌 ‘사파포럼(가칭)’과 같은 이름으로 월 1회 노동쟁점 토론회를 추진하여 그 문제의식을 발전시키기로 하였습니다.

이 포럼은
1) 강의에서 제기된 여러 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내용이면서
2) 현재 노동관련 중요이슈와 쟁점을 노동과의 연대라는 관점에서 토론/의제화하며
3) 노동에 대한 좀더 심화된 학습을 위한 주제 세미나
등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잠정적으로 매월 마지막주 화요일에 하기로 했으며 따라서 첫 사파포럼은 8월 28일에 개최할 예정입니다. 비록 ‘민주주의와 노동’학교를 수강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노동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포럼으로 진행될 것이니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수강생 여러분들이 납부해 주신 수강료 97만원 중 73만 1천원을 대관 식음료 교재비 등으로 집행하였으며 그 잔액은 향후 사파기금 행사에 사용하겠습니다.

끝으로 촬영을 기꺼이 도와주신 칼라티브를 비롯, 자원봉사해 주신 모든 분들께 현장에서 제대로 하지 못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고압습니다.

‎’민주주의와 노동’ 학교 참고문헌을 공유합니다.

<참고문헌 (References)>

강의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헌을 간단히 참고자료로 제공합니다.
강의를 들은 후에 그리고 강의를 듣기 전에 읽어오시면, 강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1강(6/25) ‘한국의 노동문제, 무엇이 문제인가’ 참고자료

임영일, 2010, “한국 노동운동의 위기와 진로”
정진상, 2006, “노동계급 형성의 구조적 조건의 변화: 1987-2003”

2. 2강(7/2) ‘한국의 노동시장과 노동법체제’ 참고자료

김유선, 2010, “2010년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이병훈, 2010, “한국 노동조합운동의 연대성 위기”

3. 3강(7/9) 한국의 민주주의와 노동 – 비교사적 관점에서 본 역사와 교훈

최장집 – 조희연 대담, 2006. “운동으로서의 민주주의, 위기에 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