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파업연대기금 받는 말_민주노총 해고자복직투쟁특별위원회(전해투)]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의 해고자원직복직 투쟁에 대한 지원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전국해고자복직 투쟁의 핵심사업 중 하나인 전국해고자대회는 형태만 다양화할 뿐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20여년의 역사를 이어온 전해투 주관하에 매년 진행해 왔습니다. 전국 해고자대회를 포함한 ‘전국해고자의 날’은 작년에 이어서 올해 두번째였습니다.
(전평시기 ‘해고실업반대투쟁위원회’의 ‘비해고실업자대회’가 개최되는 등 전국적 해고자대회의 역사는 오래되었습니다.)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은 ‘비없세’와 올해 ‘전국해고자의 날’ 기획단계에서부터 함께 해주셨습니다. 기금지원 이전에 그동안 각종 해고자복직투쟁에 대한 연대와 함께 참으로 소중한 역할을 해주셨습니다.
‘전국해고자의 날’ 첫날 행사인 ‘해고에 맞선 투쟁의 역사와 전망’ 토론회를 통해서 자본주의 체제에서 폐기물처럼 공장밖으로 내몰린 해고자들의 대응 역사와 해고의 양상을 짚어보고, 해고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구조적 문제화하며 원직복직 투쟁을 했던 단결투쟁의 의미와 운동적 역할을 다시 고민하고, 해고자들의 수많은 고통과 불안정한 투쟁의 미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같이 고민했습니다. 권영숙 사파기금 대표의 발제는 많은 반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둘째날 문화제와 전국해고자대회에 250여명의 식사를 포함해서 사파기금의 지원은 많은 동지들이 감동을 받았습니다.
작년 희망 뚜벅이, 희망광장에서 투쟁사업장 공투단으로 이어진 ‘해고와 비정규직없는 세상’을 향한 투쟁의 발걸음. 그 속에는 ‘해고’의 문제가 핵심이었습니다. 정리해고 분쇄투쟁은 말할 것도 없고…, 비정규직 철폐투쟁에서도 불안정 고용형태와 일상적, 주기적 해고의 문제가 노동자들에게는 사활적 문제입니다. 1인 해고의 문제일수도 있고, 집단해고의 문제일수도 있고, 단기투쟁일수도 있고, 장기투쟁이 되기도 하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거대구조의 철폐문제 일수도 있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전국의 해고자들은 여러분들의 소중한 연대를 바탕으로 자신의 원직복직과 함께 ‘해고와 비정규직없는 세상’을 향해 힘차게 투쟁할 것입니다.
앞으로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명실공히 사회적 연대의 모범으로서 투쟁하는 노동자들과 해고노동자들의 든든한 울타리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원드립니다. 그리고 해고자를 포함한 투쟁하는 노동자들의 적극적인 동참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다시 한번 사파기금에 전국의 해고자들을 대표해서 감사드립니다.
제123주년 메이데이를 맞은 2013년 5월 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해고자복직투쟁특별위원회(전해투) 위원장 이호동올림.
사파기금: 99%의 아래로부터의 직접행동 “1만명의 1만원 계좌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