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7월12일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은 강남역 사거리 CC-TV 관제탑에서 고공농성중인 삼성그룹의 김용희 해고노동자를 연대방문하였습니다. 김용희 노동자는 강남역 교차로 한복판 27미터 높이에 1평도 안 되는 공간에서 싸우고 있습니다.
이 날은 그의 고공농성 33일차, 단식 농성 40일차 되는 날입니다. 숫자가 다른 이유는 그가 단식농성 1주일을 넘기면서 고공농성을 감행했기 때문입니다. 1주일을 굶은 이가 새벽 5시, 강남 한복판 저 탑을 올랐던 것입니다.
집회는 매일 오후 7시 30분 열립니다. 집회 참가자가 많지 않았습니다. 김용희씨의 27년 투쟁은 얼마나 외롭고 힘들었을까요. 사파기금 집행위원들이 도착하면서 머릿수를 조금 더 불렸습니다. 사회자는 사람이 적다고 오히려 민망해하더군요. 정말 한명 한명의 참가자가 얼마나 힘이 되는지. 연대는 ‘몸으로 하는 것’이라는 것을 실감합니다. 소박한 집회에서 발언자들도 몇 없었고, 이렇다하는 사회단체 대표들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흔한 노래 한곡 부르지 않았고, 민중가수도 없었습니다. 매일 누군가가 오긴 힘들겠지요.
권영숙 사파기금 대표는 연대발언에서, 1990년 신문지상에 무노조 삼성에 최초의 노조가 생겼다는 기사에 등장했던 바로 그 인물이 그후 24년째 복직을 요구하며 외로이 투쟁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면서, 이야말로 한국에서 민주노조가 처해있는 ‘사회적 고립’을 드러낸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권대표는 삼성의 ‘무노조’경영은 없어진 것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삼성전자서비스노조를 인정하고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삼성전자에 여러 형태의 노조가 생겼다고 해도, 삼성의 무노조 방침은 사라진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삼성이 ‘독립노조’를 파트너로 인정하고, 존중하고, 교섭하고, 단체행동권, 즉 파업권을 인정할지 미지수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삼성이 노조를 인정한다면, 노조를 만들다 해고된 노동자들의 복직부터 단행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 중에는 87년 노동자대투쟁 가운데 전노협 산하 마창노련에 가입하고 창원공단 삼성항공에서 삼성노조 설립위원장을 맡았다는 이유로 해고된 김용희님의 복직이 가장 먼저 포함되어야합니다.
김용희님에 따르면 삼성은 각목테러, 납치, 회유협박, 구금, 가족에 대한 협박, 부인의 성폭행등을 자행했다고 합니다. 그 모두가 형법과 노조법의 위반입니다만 삼성의 노조탄압은 신문에 기사조차 제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과연 삼성만일까요? 분명히 삼성은 가장 오만하고 노골적으로 노조를 탄압했고 그래서 헌법에 보장된 노동의 시민권인 ‘노조결성의 권리’마저,공공연히 반대해왔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현직 총리라는 사람이 최근 한국노총 산하 우정노조가 파업을 철회하자, “자랑스러운 전통”이라고 치하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습니다. 그렇습니다. 이것이 바로 ‘무노조’입니다. 삼성의 ‘무노조’는 삼성만이 아니라 이 나라 전체, 자본과 국가, 양대 정치정당세력이 공유하는 기본 태도입니다. 그러니까 헌법에 보장된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노조를 오히려 “자랑”이라고 치하하지요. 그것 자체가 반헌법적인 발언인지 아는지 모르는지.
삼성이 무노조를 고수하는 동안, 전노협은 없어졌고 민주노총이 들어섰고 지금 100만명이 넘는 조합원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이 자리에는 십수명의 사람들이 모여있습니다. 그것도 주로 연대자들입니다. 왜일까요? 삼성에서 벌어졌던 일들은 이후에 삼성뿐 아니라 여러 사업장에서 ‘노조탄압’으로 현실화되고 더욱 퍼져가고 있습니다. 김용희의 투쟁에 민주노조들이, 노동자들이 함께 나서야할 이유는 바로 이것입니다. 무노조에 맞서서, 노조가 함께 싸운다! 그래야하지 않을까요?
권대표는 그러므로 “그를 고공에 올린 것은 자본이지만 그를 내리지 못하는 것은 바로 노동/운동이다”라고 발언을 끝맺었습니다.
김용희 노동자는 최근 이렇게 말했습니다. “생명의 존귀함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다. 해고 통지도 받지 못하고 24년 동안 수차례 구속과 연행, 수배와 단식 투쟁에도 무노조 삼성은 노동자의 목숨 따윈 관심조차 두지 않았다. 그래서 목숨을 걸고 철탑 위에 올라와 단식 고공 투쟁을 하고 있다”고. 그러면서 그는 “얼굴도 이름도 알지 못하는 여러분들 연대의 응원에 지난 한 달 동안 너무나 행복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얼마나 외로움이 사무쳤으면 열악한 공중에서 고공단식 농성중인 지금이 너무나 행복하다고 말할까요?
노동의 사회적 고립을 사회적 연대로 극복하고 이겨나가야 합니다.
강남역 네거리에 가거든 하늘을 보십시오. 하늘의 사람을 보십시오.
그리고 함께 연대합시다.
.
#사파기금_끝까지다함께_1만원연대계좌운동
http://bitly.kr/IgoXw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