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회 사파포럼] “파업이후 현장은“

이틀전 제11회 사파포럼 “파업이후 현장은”,
정말 좋았습니다. 주제도 좋았고 발표도 좋았고, 청중 토론도 좋았고…분위기도 좋았고. 고공농성 400일째인 구미 스타케미칼 고공농성 차광호님과의 깜짝 전화통화도 좋았고.

열정적으로 발표하고 토론해주신 유성기업 영동지회장 이정훈, 골든브릿지증권 수석부지회장 이수창, 세종호텔 노조위원장 고진수님 고맙습니다. 유성기업 이정훈지회장이 발표해주신, 투쟁에서 이기는 법, 파업이후 노조를 사수하는 다양한 방법은 시종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사무 금융 업종의 골든브릿지증권, 서비스업종의 세종호텔이 ‘파업이후’ 2년, 3년동안 겪는 문제들 역시 사업장은 다르지만 자본의 대응은 유사함을 드러냈습니다.

그리고 역시 버티는 싸움, 이기는 싸움엔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분명하더군요.
– 절대 자본에게 굴종하지 않는 것!
– 파업이후 자본의 현장권력에 쫄지말고 같이 ‘맞고’ 같이 움직이는 것! 그래서 현장을 장악해내는 것!
– 부당전보등 자본의 갈라치기에 대해선 함께 거부하는 것! 집단적 노사관계를 개별화하려는 움직임에 동요하지 말고 함께 대응하는 것! 모두가 거부하면 무력해진다.
– 그리고 파업이후 시간을 허비하지 말 것! 여기에도 ‘골든 타임’이 있다.

하지만 제 생각에 가장 중요한 것은, 투쟁에서도 상상력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싸움이 늘어질수록, 대책이 없다 싶을 때일수록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 바로 적의 의표를 찌르고 간담을 서늘하게 만드는 발칙하고 도발적인 상상력! 아닌가 싶습니다.

세종호텔, 골든브릿지증권, 희망연대노조, 유성기업, 울산 현대중공업등, 어느때보다 많이들 오셨고 열띤 청중 토론과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더 많은 노동자들과 노동문제에 관심있는 이들이 포럼에서의 이야기와 토론내용을 공유하면 좋을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음에는 더 핵심을 찌르는 주제 기획으로, 더 많은 청중과 만나길 바랍니다.

2015년 7월 2일
사회적파업연대기금

About sapafund

soulguardian71@gmail.com 사파홈피관리

Post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