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 노동영화 열전> 시즌 2. 3회 “빵과 장미” 20181110
전세계 영화를 통해 어제와 오늘의 노동/운동의 역사를 살펴보는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의 <사파 노동영화열전> 시즌 2의 제3회 상영작은 영국의 켄 로치 감독의 “빵과 장미”(2000년 작, 110분)였습니다. 미국으로 이주한 멕시코 출신 여성 노동자 마야의 투쟁을 통해서 신자유주의하의 하층 노동자들의 삶과 노동조건, 그리고 투쟁을 다룬 영화였습니다.
“빵과 장미”라는 슬로건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12년 미국 로렌스파업이었고, 이것은 1908년 뉴욕 섬유공장 노동자들의 파업이 열렸던 3월 8일과 합쳐져 오늘날 ‘세계 여성의 날’의 기원이 됐습니다. 하지만 1900년대 초 영화 속 노동자들의 구호와 오늘날 한국 노동의 구호는 그리 다르지 않은 것 같고, 오늘 날 한국 노동 운동의 모습은 더 우울한 것 같습니다. 영화에서 말하는 “빵”은 생존권을, “장미”는 인간으로서의 존엄, 인권등을 의미하는데, 어쩌면 오늘의 노동 운동은 더 많은 ‘빵’만을 요구할 뿐 ‘장미’의 가치는 잃어버린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게 하는 자리였습니다.
작년 노동자 대회 전야제에 이어 올해도 노동자 대회에 열린 <사파 노동영화 열전>이었습니다. 1970년 11월13일 청계천 평화시장 의류 노동자였던 전태일의 분신과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이야말로 “빵과 장미”의 정신을 말했던 것이 아닌가 하는, 뜻깊은 영화 상영이었습니다.
노동자 대회가 끝나고 <사파 노동영화 열전>에 함께 해주신 택시지부, SK 브로드밴드 노동자들, 그리고 사파기금 연대자들이 골고루 함께 했습니다. 지방에서 올라온 이들도 몇분 계셨습니다. 단지 영화 한편만 보러 오시는 것은 아니겠지요. 언제나처럼 영화 상영 전, 권영숙 대표가 영화의 영화사적, 정치사적 맥락을 짚어주었습니다. <사파 노동영화 열전>만이 갖고 있는 강점이죠.
권대표는 세계여성의 날의 기원뿐 아니라 이 영화의 소재가 된 2000년 ‘청소노동자들을 위한 정의”(Justice for Janitors)를 생생하게 미국 현장에서 경험한 이야기를 전해주고, 내셔날센터인 AFL-CIO가 조합주의, 관료주의로 부패하고 투쟁을 방기하는 가운데 어떻게 평조합원들이 아래로부터 만든 새로운 노조조직인 SEIU등을 통해서 미국 노동운동의 ‘재건’과 부활을 꿈꿨던가를 이야기했습니다.
특히 아르헨티나의 좌파 여성활동가들이 만든 “빵과 장미(Pan y Rosas)”의 구호이기도 한, “우리중 한 사람만 다쳐도 그것은 모두의 상처다”라는 원칙과, “한명도 더이상 잃을 순 없다(Ni Una Menos)”라는 구호는 오늘날 #미투와 #위드유를 연상케 하는 운동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노동계급이 인종, 젠더를 넘어서 계급적 단결을 할 수 있기 위해선 바로 이런 “빵과 장미”의 정신, 그리고 “한명도 더 이상 잃을 순 없다”는 원칙이 필요하겠지요.
주인공인 마야와 그의 언니 로사의 언쟁을 보면서 오늘의 노동 현장을 보는 것 같다는 고진수 운영위원의 발언과 LG 유플러스 조합원의 오늘 노동 현장에 대한 고민. 그리고 노동 운동과 민주노총 비판. 이 모든 토론들이 더 나은 내일과 노동 운동을 만들기 위한 참석자들의 열망의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파 노동영화 열전>은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준비한 장기 프로그램입니다. 단순히 영화를 보는 문화행사를 넘어 노동자 학습이자 선전 프로그램입니다. 이 귀한 자리에 더 많은 노동자들과 연대자들 그리고 노동과 영화에 관심 있는 많은 시민들께서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
다음 상영회는 12월 8일(예정)입니다.
사회적파업연대기금


<사파 노동영화 열전> 시즌 2. 3회 “빵과 장미” 후기 사진 앨범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