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사회적파업연대기금과 함께
5기 민주주의와노동학교
대주제 ”비정규노동 문제와 운동, 법, 전략”

2회 “민주주의와노동” 1박2일 캠프

1주제. ‘비정규노동과 민주노조운동’
2주제. ‘민주노조운동의 혁신은 가능한가’

<발제>
– 기조 발언: 권영숙 (민주주의와노동학교 강사/민주주의와노동연구소 소장)
– 1주제 발제: 김동성 (금속노조 전 부위원장)
– 2주제 발제: 이용석 (현대제철 비정규지회 정책부장)
– 종합 발제: 김진희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본부장)
– 사회: 김형수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 지회장

일시: 2024. 9.28. 오후6시 – 9.29. 오전10시
장소: 꿀잠 ’문화교육공간 판‘(서울 영등포구 도신로51길 7-13)

주최 사회적파업연대기금
공동주관 민주주의와노동연구소

자료집 : 20240928_2th_camp_reference.pdf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여는 제5기 민주주의와노동학교가 대주제 “한국 비정규노동 문제와 운동, 법,전략”하에 마지막 4강 “노동권, 노자관계, 노동계급의 해체에 맞서는 미래전략”을 9월28일 서울 꿀잠 교육장(판)에서 열었습니다.

5기민주주의와노동학교 4강 후기 전문읽기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은 추석을 앞두고 지난 9월10일 참사 이래 참사 79일째가 되는 ‘아리셀 참사 대책위원회’에 긴급 지원을 결정하고 지원하였습니다.

추석을 바로 앞에 두고서,자식과 아내등을 잃은 유족들은 그 슬픔을 안아내는 것만으로도 버거운데, 대부분 중국에서 건너와 이제 80일을 거리에서 투쟁하고 있습니다.
참사 79일차인 9월10일 50회차 시민문화제는 강남역 삼성전자 본관 앞에서 열렸습니다.

사회적파업연대기금이 여는 5기 민주주의와노동학교 3강 강의주제는 “비정규노동의 조직화, 투쟁, 그리고 현주소”입니다. 9월7일 오후3시, 기후위기행진으로 수만명이 서울 강남에 모이는 가운데, 정동 민주노총 15층 고요한 장소에서 열렸습니다. 수강자들 일부가 불참했지만, 강의가 가능한 정족수는 충분히 되었습니다.

5기민주주의와노동학교 3강 후기 전문읽기

1. 권영숙, 2015. “대기업 정규직 노조의 보수화와 비정규노동 문제—‘장그래’와 <밥·꽃·양>, 거짓과 진실,” <황해문화>, 47- 58.
삶창_정규직_노조의_보수화와_비정규노동문제_권영숙_인쇄지.pdf

2. 권영숙, 2020. “한국 노동권의 현실과 역사: ‘노동존중’과 노동인권에서 노동의 시민권으로”, <산업노동연구> 제 26권1호, 217- 269, 한국산업노동학회.  
한국 노동권의 현실과 역사_산업사회연구.pdf

3. 권영숙, 2017. “민주화이행이후  한국 노동운동의 역사적 전환과 시기구분, 1987-2006″, <사회와 역사> 115집 2017 가을 : 277-344쪽
민주화이행이후_한국_노동운동의_역사적_전환과_시기_구분_사회와역사_115호_2017

제 21회 사파포럼 – 현장 시리즈 “나의 투쟁, 우리의 운동”(2차) “2019년 톨게이트 투쟁 – 노동권과 일자리를 둘러싼 투쟁”

 

○ 발제 : 도명화, 박순향 (톨게이트노조 전, 현 지부장)

○ 사회 : 권영숙 (사회적파업연대기금 대표)

○ 일시: 2024년 7월 6일(토) 오후 3시-6시

○ 장소: 서울 민주노총 15층 교육장 

 

주최 : 사회적파업연대기금

[21회사파포럼 자료집]